본문바로가기

기능안전·SW V&V

자동차 사이버보안/기능안전 시험이란?

  • - (사이버보안 시험) TARA수행 및 시나리오 기반 침투 테스트, 퍼징 테스트를 통해 보안 기능 적합성을 검증하는 시험
    Threat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위협모델링을 기반으로 위협 분석 및 위험 평가를 실시하여 위험을 식별하고 보안 목표(Cybersecurity Goals) 달성을 위해 위험을 처리하는 과정
  • - (기능안전 시험) SW 안전 요구사항(Safety RQ)이 정확히 구현되었는지 검증하고 그에 따른 안전 목표(Safety Goals)를 만족하는지 검증하는 시험
자동차 기능안전·사이버보안/기능안전 시험에 대한 구분, 시험 서비스 구분, 설명의 표
구분 시험 서비스 구분 설명
자동차 사이버보안
(Cybersecurity)
TARA 수행 및 보고서 도출 부품 또는 차량 대상 TARA를 수행하여 TARA 보고서 도출
TARA 기반 위협 검토 및 테스트 설계 TARA를 통해 도출된 위협 시나리오에 따라 보안 요구사항 정의 및 테스트케이스 수립
보안 요구사항 검증 시험 정의된 보안 요구사항이 구현 단계에서 충족되었는지를 코드, 시스템 수준에서 검증 및 기능 구현 정합성 시험
보안 기능 통합 시험 여러 보안 모듈/기능이 통합되었을 때의 상호작용과 시스템 보안성을 검증
침투 테스트 및 취약점 탐지 시험 공격자관점에서의 외부 침입 시도, 취약점 분석, fuzzing, CVE 기반 취약점 스캐닝 등
자동차 기능안전
(Functional Safety)
명세 기반 시험 요구사항 기반 테스트케이스 설계 및 검증
구조기반 시험 코드 커버리지를 기준으로 테스트 설계 및 검증
오류 주입 시험 결함 상황을 강제로 발생시켜 시스템 대응 검증(Fail-safe)
등가 클래스 분할/경계값 분석 입력값(Input) 범위 기준으로 테스트 케이스 설계 및 검증

자동차 사이버보안/기능안전 시험 혜택

  • - KOLAS 인정 시험기관의 시험성적서 발급으로 국내외 공신력 확보
  • - UN Regulation No.155 준수를 위한 CSMS/SUMS 인증 대응 문서로 활용
  • - 자동차관리법 상 사이버보안 대응체계 및 전장부품 기능안전성 입증 자료로 활용
  • - OEM 및 글로벌 완성차와의 납품 계약 시 필수적인 사이버보안 신뢰성 증빙 수단

시험 진행 절차

사전 상담 -> 시험 신청 -> 요구사항 기반 문서/제품 제출 -> 문서 및 제품 시험평가 -> 성적서 발급

제출 서류

담당자 안내

직원조회 리스트 - 부서명, 성명, 직책,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담당업무
부서명 성명 직책 담당업무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인공지능융합센터 정신훈 책임연구원 031-8039-6982
인공지능융합센터 이준형 선임연구원 소프트웨어 시험, 소프트웨어 V&V, 기능안전(Functional Safety), R&D 프로젝트 031.8039.78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