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유럽

CE RED 인증제도 개요

CE RED는 무선기능이 들어간 제품에 대해 Radio Equipment Directive (RED) 2014/53/EU에서 요구하는 기술기준에 적합함을 증명해야 되는 지침입니다.
무선기기 지침의 일반적인 원칙은 보건 및 안전, 전자파 적합성 (EMC) 및 라디오 스펙트럼 등의 핵심 요구사항의 준수를 요구하는 R&TTE 지침과 매우 유사합니다.

다른 유럽 지침과 마찬가지로 무선기기지침은 특별 요구사항에 대한 조화 표준을 따르며 이들 특별 요구사항을 준수하는 것은 지침의 핵심 요구사항의 적합성을 준수했다는 추정을 제공합니다.

적용 규격은 Harmonized Standards로 유럽연합의 위임을 받아 각 지침이 요구하는 필수적 요구사항(Essential Requirement)이 포함된 유럽표준화기구(ETSI, CEN, CELENEC)가 제정하는 표준이어야 합니다.

인증 대상 품목

9 kHz에서 3,000 G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전파(RF)를 송수신하는 장비가 여기 해당됩니다. 대표적인 예로 Wi-Fi, Bluetooth, LTE, RFID, GPS, NFC, Zigbee 등이 있습니다.

인증 절차

인증 절차 : 단계, 내용 정보제공
단계 내용
1단계

CE marking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적용되는 Directive(지침)을 확인

  • 저전압 지침: 2014/35/EU Low voltage (LVD) Directive
  • EMC 지침: 2014/30/EU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Directive
  • 위해 물질 사용 제한 지침 : 2011/65/EU Restriction of the use of certain hazardous substances (RoHS)

지침에서 요구하고 있는 필수 안전 요건을 항목별로 확인

  • 제조자는 지침에서 규정하는 안전 요구사항에 대한 적합성을 입증해야 함
  • 제품 사용상 안전성 및 위험 방지에 대한 기술적인 내용을 기술문서 형태로 제시
  • 제품 시험 실시 결과 및 관련 자료를 제시

필수 안전 요건에 대한 적합성 평가 방식(모듈)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적합성 평가를 실시

  • CE marking 적합성 평가는 총 8가지 모듈(module)의해 진행됨.

지침별로 제품에 적용할 시험 규격, 즉 유럽 Standard(EN Standard)을 결정

2단계

제품에 관련된 유럽 규격(EN Standard)에 따라 공인시험기관에서 시험을 실시

  • Low Voltage (LVD) EN 60335-1, EN 60335-2-15, EN 60335-2-24, 등
  •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EN 55014-1, EN 55014-2, EN 61000-3-2, EN 61000-3-3 등
3단계

모든 적합성 평가가 완료되면, 제품 안전 및 위험 방지 대한 기술적인 내용을 포함하여 기술문서를 작성 (Technical documentation)

  • 제품 스펙 및 제품 구동에 필요한 내용 및 설명 자료
  • 설계도면, 회로도, 회로 계통도 등
  • 부품 리스트, 설계 계산식, 설계 규격 리스트
  • 중요부품이나 유지보수 시 교환되는 부품 등에 대한 카탈로그, 기술자료 등
  • 제품 위험 요소 분석 및 평가
  • 사용자 설명서, 설치 매뉴얼
  • 내부 혹은 공인기관 시험성적서, 적합성 선언서
4단계 제조자는 적합성 선언서를 작성하고 그에 대한 보증의 의미로 서명하여 승인
5단계 제조자는 제품 출하시, CE 마크와 함께, 지침에서 요구하는 제품 표시사항을 부착
CE RED 마크

필요 서류

영문 사용설명서, 회로도, 부품리스트, 모델별 차이점(복수모델의 경우) 등

KTR 서비스 내용

KTR에서는 전기전자제품에 대한 CE Marking을 위한 시험/인증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담당자 안내

직원조회 리스트 - 부서명, 성명, 직책,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담당업무
부서명 성명 직책 담당업무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글로벌산업기기센터 정희라 책임연구원 전기전자제품 해외 인증 02.2164.0041
글로벌산업기기센터 김지만 책임연구원 전기전자제품 해외인증 02.2164.0016
글로벌산업기기센터 박현아 책임연구원 전기전자제품 해외인증 02.2164.0034